가상자산을 상장하는 방법에는 ICO, IEO, IBO, STO, IGE 등 다양한 방식들이 활용되고 있다. ICO는 과거 가장 대표적인 가상자산 상장방법으로 다수의 불특정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여 자금을 투자받는다. 또한 IEO는 현재 가장 선호되는 방식으로 코인 거래소에 상장하여 자금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이렇듯 여러 가지 방식의 코인 상장 방식을 통해서 코인 시장에 상장한 가상자산들이 모여서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가상자산들은 처음에 어떻게 일반인들에게 분배될까? 초기 가치 있는 가상자산 분배 시 참여할 수 있다면, 수백 배 또는 수천 배의 수익을 얻을 수도 있기 때문에, 코인 분배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
새로운 가산 자산이 어떤 방법들로 처음 판매되는지, 코인 상장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IPO ( initial public offering : 초기 기업 공개 )
일단 주식시장의 경우, IPO라는 방법으로 처음 외부 투자자들에게 기업을 공개한다. 이후 자신들의 회사 주를 주식시장에 등록한다. 이와 유사하게 가상자산시장에서도 외부 투자자들에게 공개하는 방법이 있다.
ICO ( Initial Coin Offering - 초기 코인 공개 )
앞서 언급한 주식시장의 IPO에서 따온 개념이다.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다수의 불특정한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여, 자금을 투자받는다. 코인 발행 사는 투자금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지급하고, 모인 자금을 바탕으로 코인을 운영하고 발전시킨다. 코인 발행 사는 해당 코인에 대한 목적, 전망, 운영법 등을 백서(White paper)라는 문서로 작성하여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한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코인을 평가하고 해당 프로젝트가 제시한 지갑 주소로 코인(코인 발행사가 제시한 코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을 보내면 코인을 받을 수 있다.
코인 발행사는 ICO를 통해서 손쉽게 자금을 모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개한 코인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으로 삼을 수 있다. 하지만 코인 시장에 규제나 법이 없다 보니, 코인 발행사가 사기를 친다거나 해도 대처할 방법이 없다. 그로 인해 피해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였고 새로운 상장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ICCO ( Initial Convertible Coin Offering - 초기 전환형 코인 공개 )
ICO와 주식시장을 합친 개념이다. 회사는 ICO를 통해 토큰을 발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회사의 주식으로 교환받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는 개념이다.
IWO ( Initial Wallet Offering - 초기 지갑 공개 )
암호화폐 지갑을 통해 코인이 공개되는 방식이다. 암호화폐 지갑은 코인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로써, 모바일 앱으로 이루어진 Soft wallet과 USB 장치 형식의 Hard wallert 이 있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지갑은 Soft wallet (모바일 어플 형식)으로 되어 있다. 보통 이러한 wallet (월렛. 지갑. 자체 제작하거나 다른 코인의 월렛이 될 수도 있다) 들은 앱 내에서 제휴한 다른 코인들과 거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거래소와 비슷하게 월렛 운영업체에서 검증하여 등록하게 된다.
IEO ( Initial Exchange Offering - 초기 거래소 공개 )
코인 발행사는 거래소와 컨택하여 거래소를 통해 코인을 공개한다. 공개하는 거래소에서 검증하기 때문에, 이전 공개 방식보다 훨씬 위험이 적은 공개 방식이다. 코인 발행 사는 큰 거래소에 상장할수록 큰 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다면 매우 좋은 방식이다.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도 오랫동안 거래한 거래소에서 검증하기 때문에 믿을 수 있다. 거래소의 입장에서도 IEO를 여러 차례 성공시키면 높은 신뢰도가 쌓이기 때문에 매우 좋은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믿을 수 있는 거래소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SIEO( Sustainable Initial Exchange Offerings. Sustainable IEO - 지속 가능한 IEO )
오랫동안 지속 가능한 IEO를 만들기 위한 상장 모델이다. 투자자들은 매일 할인된 가격으로 코인을 구매하고,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는 IEO 방식이다.
IBO ( Initial Bounty Offering - 초기 대가 공개 )
코인 발행 시, 상장 참여자들은 코인 발행사가 발행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코인 발행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코인을 받게 된다. 참여자들은 코인 검증, 마케팅, 백서 번역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기여하고 코인을 받을 수 있다.
ATO ( Asset Tokenization Offering - 자산 토큰화 공개 )
주식, 채권, 부동산 등 현실 세계의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의 코인에 대입하여 판매한다. 낮은 수수료, 전송보안, 쉬운 전송 등등 블록체인으로서 수많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디지털 토큰이 실제 자산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물자산은 실제 회사에서 관리된다. 블록체인의 목적이 중앙화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지만, ATO는 현실의 실체가 관련 기관에 의해 규제될 수 있기 때문에 가상자산의 취지와 부딪히는 문제가 있다.
STO ( Security Token Offering - 보안 토큰 공개 )
STO는 해당 암호화폐를 발행한 회사의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보안형 토큰(Security Token)을 발행하는 것이다.
STO로 구매한 보안형 토큰(Security Token)은 토큰 발행사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자는 보유한 증권형 토큰의 개수에 따라 토큰 발행사가 창출한 이윤의 일부를 배당금으로 받거나 발행사의 경영권의 일부를 가질 수 있다
TGE ( Token Generation Event - 토큰 발행 이벤트 )
TGE는 신규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토큰 생성 이벤트를 말한다.
IGO ( Initial Game Offering - 초기 게임 공개 )
비교적 최근에는 생긴 개념으로 게임을 통해서 가상자산을 공개하는 것이다. 게임 내에서 사용할 NFT를 사전에 공개해 일반인들에게 기회를 제공한다. 게임이라는 현물이 존재하므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프 Kimp? Gimp? - 김치프리미엄 차트 보는법 (0) | 2022.03.10 |
---|---|
암호화폐 거래소 - 바이낸스(Binance) 하기 (0) | 2022.03.02 |
암호화폐 거래소 - 업비트(Upbit) (0) | 2022.03.02 |
암호화폐 시가총액 확인하기 - 코인마켓캡 (0) | 2022.02.11 |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비트코인 (0) | 2021.05.13 |
댓글